고용보험환급 과정 사업주가 훈련비용을 부담하여 재직근로자에게 실시하는 직업 훈련으로, 국가로부터 훈련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과정
국민내일배움카드 과정 근로자 직업능력개발 카드를 발급받은 근로자가 1년간 200만원(5년간 300만원) 한도 내에서 수강료를 지원받을 수 있는 과정
비환급 과정 학습자가 국가 및 회사 지원을 받지않고, 스스로 직무능력 향상 및 자기개발을 위해 100% 자비로 부담하여 수강신청하려는 과정
기업 규모
대기업 : 상시 근로자 수 1,000인 이상
중견기업 : 상시 근로자 수 1,000인 미만
우선지원 기업 : 산업별 상시 근로자 수 기준 상이
* 정확한 확인은 근로복지공단으로 직접 문의 바랍니다.
항목 | 진도율 | 진행단계평가 | 최종평가 | 과제 | 수료기준 |
평가기준 | - | 10% | 60% | 30% | 80점 이상 |
수료기준 | 80% 이상 | Y | Y | Y |
박재경 (K&P Partners 수석 컨설턴트)
이 과정은 최신 기술 트렌드와 사례를 통해 의료기기 연구·개발 방향을 제시합니다. 또한 VR, AR, 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헬스케어 제품 전략을 학습할 수 있고 의료기기 설계와 검증 절차를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습니다. 더불어 생산 공정 표준화와 품질 관리 노하우를 제공합니다.
1. 헬스케어 분야 실무자
2. 의료기기 연구·개발 실무자
3. 의료기기 하드웨어·소프트웨어 엔지니어
4. 의료기기 생산·제조 관리자
1. VR·AR·메타버스, AI 등 최신 기술의 발전 동향과 응용 사례를 분석하여, 의료기기 연구·개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.
2. 의료융합 기술 기반의 혁신적 의료 서비스 사례를 연구하고,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과 서비스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.
3. 의료기기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기구 설계 기술과 검증 과정을 통해 높은 완성도의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.
4. 위험요소 관리, 성능 평가, 문서 작성 등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하여, 의료기기 인허가 절차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.
5. 생산 공정의 표준화 및 품질 관리 방안을 통해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, 제품과 서비스의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.
평균 평점 -